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효과적인 경영조직이란?

이슈제작소 2022. 9. 15. 16:28
반응형

경영전략의 실행 가능성은 추진사업에 적합한 조직구조를 가지고 있느냐와 경영진들이 전략 수행에 필요한 기술과 능력을 지니고 있느냐에 달려있습니다. 양호한 경영성과를 가져오는 경영조직은 효과적인 의사소통, 권한과 책임의 분권화, 환경변화에 대한 유연성이 높습니다.


경영조직


아무리 훌륭한 경영전략이더라도 그것은 실행 가능성이 높아야 합니다. 경영전략의 실행 가능성은 추진사업에 적합한 조직구조를 가지고 있느냐와 경영진들이 전략 수행에 필요한 기술과 능력을 지니고 있느냐에 달려있습니다.

특히 유효성이 높은 경영조직을 갖추고 있는지는 조직의 분권화 정도와 경영정보시스템 정비 정도 그리고 경영자 개발 능력 면에서 평가될 수 있습니다.


1. 경영조직

01. 분권화

오늘날 많은 대기업에서는 분권화된 경영조직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래 분권화된 조직은 각 부서를 제품 라인별 또는 각 지역별 시장별로 서로 다른 책임자가 맡아 독립된 기업체처럼 경영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즉 그 부서의 책임자는 독립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각 부서의 의사결정은 최고 경영층에 의해서 설정된 경영정책 범위 내에서 이루어집니다. 분권화 조직은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를 잘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업규모가 클수록 명실상부하게 분권화가 잘 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형식적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잘 적용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일이 필요합니다.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다면 부서의 관리자가 지원을 받지 못하고 오히려 간섭을 받아서 부서의 활동이 경직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서 책임자가 이동이 빈번하거나 급료의 불균형이 심한 경우, 상위 관리층의 연령분포가 불균형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02. 보상시스템과 경영정보시스템

최고경영층이 하위관리자에게 권한과 책임을 위임함으로써 분권화가 확대되면 그 반면에 권한이양이 남용될 가능성이 있고 통제력을 상실할 가능성도 커집니다.


각 부서의 관리자들은 기업 전체의 목표보다는 자기 부서의 목표를 우선적으로 달성하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어느 부서의 경영실적이 기업 전체의 목적 달성에 기여한 부분만큼 그 부서관리자에게 보상하는 보상시스템을 설정하는 것이 해결책이 됩니다.


또 다른 방법은 효율적인 경영정보시스템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수많은 공장과 부서에서 사용하는 엄청난 양의 자료를 전부 중앙컴퓨터에서 처리하여 수익, 현금흐름, 자산의 수준 및 제품 공정이나 특정 지역에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중앙 경영층에 신속히 보고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럼으로써 실제로 발생한 수치와 예상 수치를 비교하여 이들 차이에 대한 즉각적인 통제가 가능하고 또 외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에 대한 대처능력도 배양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