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특정 산업의 성과는 당해 산업제품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결정됩니다. 특정 산업의 특성과 그 산업의 미래 유망성을 평가 예측하는 데에 수요와 공급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수요 공급요인

1. 수요요인과 공급요인

01. 수요요인

당해 산업제품에 대한 수요기반이 넓고 신규 수요증가 가능성이 국내외적으로 높으면 당연히 당해 산업의 미래 전망은 밝습니다.

모든 산업에 걸쳐 전개되고 있는 국제화, 정보화, 서비스화의 동향과 함께 분석대상 산업의 수요가 확대될 것인지 축소될 것인지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검토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제품 수요의 기본 특성입니다. 산업의 매출과 이익의 성장성, 제품 수요의 경기순환에 대한 민감도와 가격 수준에의 수요 민감도를 고려할 때 수요의 안정성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 제품 수요의 항구성입니다. 제품 수요의 특성, 기술변화 속도, 구매자 집단의 크기와 소득 수준, 정부지원이나 규제 여부를 고려할 때 제품 수요의 장기간에 걸친 지속성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은 국내 수요의 확대 가능성입니다. 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 소득구조의 변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가치관의 변화, 개성화, 다양화, 고급화 등 수요구조의 변화 연관산업의 발달로 인한 부품 수요의 증대로 인한 신규 수요 증가 혹은 활발한 수입대체로 내수 증가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밖에도 해외 수요의 확대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외 신시장 개척 가능성을 예로 들자면 미국, 일본, 중국, 중남미, 공산권 지역별로 신시장을 개척할 가능성이 있을 수 있고, 기존 해외시장의 대체 가능성 역시 존재합니다.

세계 수요 변화의 질적 측면도 고려할 경우의 세계시장점유율의 변화 가능성, 선진국 대 후발개도국의 수요 변화 가능성을 고려할 경우의 수출 수요 증가 가능성 역시 고려할 만합니다.


02. 공급요인

당해 산업제품을 생산, 공급하는 업체들이 품질, 가격, 기술면에서 국제경쟁력이 높으면 당해 산업의 미래 수익성과 성장성은 유망한 것으로 예측될 것입니다.

분석대상 산업의 국내 외적인 경쟁환경의 변화를 고려할 경우 당해 산업이 얼마나 유망하고 호전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시도될 수 있습니다.

첫째로 공급업체 간의 경쟁구조의 기본 특성입니다. 공급자의 구성과 공급 집중도, 산업의 주요 경쟁방식, 비용구조, 산업 전체의 미래 공급능력과 조업도 수준, 대체품의 가격 수준, 제품 수명 사이클 상의 위치가 있습니다.

두 번째로 국내 공급업체의 국제경쟁력입니다. 국제경쟁력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국내 공급업체가 가격, 비가격, 기술 면에서 얼마나 경쟁력이 있는가, 세계 경제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 세계 특정 지역 국가와 얼마만큼의 경쟁우위, 경쟁열위에 있는가에 대한 평가입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