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업 내의 혁신 정신 그리고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은 연구개발 활동을 보면 잘 평가될 수 있습니다. 신제품 개발과 기존 제품 개선 및 생산공정의 개선 등의 연구개발 활동이 미래 성장잠재력의 지표가 되기 때문입니다.
한걸음 더 나아가 기업이 얼마나 적극적인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당해 기업의 연구개발비 대 매출액 비율을 경쟁기업들의 비율과 비교합니다.
- 기업 자체에 의한 연구개발비용과 계약에 의한 연구개발비용을 비교합니다. 전자가 후자보다 클수록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기업이 응용연구뿐 아니라 기초연구에도 얼마나 비중을 두고 있는 지를 확인합니다. 기초연구는 특별한 상업적 목적이 아니라 단지 학문적 목적을 지니나 상업적으로 성공한 대부분의 기업은 그 성공의 발판이 상업적 목적이 아닌 기초 연구활동에 연유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경영진 평가 역시 중요한 항목입니다. 기업 최고의 경영진은 전략적 의사결정의 주체로서 과거의 기업성과와 장래 성장의 주역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분석은 중요합니다.
정리
기업의 질적 경영분석
기업의 미래 경영성과는 그 기업이 속해 있는 산업구조와 같은 산업 요인이나 기업 내부의 경쟁력, 최고경영자들의 경영능력과 같은 기업 요인 등 질적 요인에 의해서 원천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특정 산업의 유망성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포터의 산업구조분석, 제품 수명주기 이론, 산업수요. 공급 분석 등이 있습니다.
[경영 분석] - 산업 분석 - 어떤 사업이 경쟁력 있는 가를 결정하는 구조적 요인 분석
[경영 분석] - 산업의 수요와 공급분석
산업 분석 - 제품 수명주기 이론
진입장벽의 요인으로서, 규모의 경제, 제품 차별화, 막대한 소요자본 및 교체비용, 견고한 기존 판매망, 기존 업체의 비용우위 등의 요인이 구축되어 있으면 산업은 구조적으로 강한 일면을 지닙니다.
반면에 기존 경쟁업체 간의 경쟁 치열도를 좌우하는 요인으로서는 다수의 진출업체, 낮은 성장률, 가격경쟁의 가능성, 낮은 제품 차별화 등의 요인이 있습니다. 이 모든 요인이 작동하면 산업 내 출혈경쟁의 가능성을 높입니다.
대체 가능성이 높은 산업도 취약한 일면을 보이게 돼 빈다. 구매자의 교섭력면에서는 구매 집중도가 높거나 제품 차별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후방적 계열화의 가능성이 높을 때, 구매자가 가격 품질조건 결제조건 등의 결정에 있어서 유리한 교섭력을 지니게 됩니다.
이밖에도 산업분석은 특정 산업에 대한 수요요인과 공급요인 중 어느 쪽이 압도하는지에 근거하여 시도할 수 있습니다. 미래 경영성과를 좌우하는 기업적 요인으로는 업계에서의 경쟁적 지위, 경영전략의 적합성, 경영조직상 분권화와 경영정보시스템의 정비, 연구개발, 경영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특정 산업에 대한 평가와 전망은 그 산업이 제품 수명주기에 있어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의 과정상 어느 단계에 있느냐에 근거하여 이윤 잠재력과 산업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