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기업의 경영성과는 그 기업이 속해 있는 당해 산업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서 원천적으로 좌우되기도 하지만, 기업적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는 바도 큽니다.
이를테면 업계에서의 경쟁적 지위, 경영전략의 적합성, 조직개발 능력, 경영정보시스템의 정비능력, 경영진 개발 능력, 연구개발 능력 등과 같은 기업 내의 요인들은 기업의 미래 장기적인 수익성과 위험에 영향을 줍니다.

피터 드러커에 따르면
"오늘의 경영이 잘되고 있는지는 현시점에서 미래를 얼마나 잘 준비하였느냐에 달려있는 것"이라 했습니다.
기업의 질적 측면에서의 경영성과는 미래를 준비하는 능력이나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에 크게 달려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업계에서의 경쟁적 지위 분석
분석대상 기업이 당해 산업 내 경쟁업체와 비교하여 얼마나 경쟁력이 있는지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시장점유율을 포함한 7개의 분석 포인트
- 시장점유율 : 시장점유율과 기업 수익성 간에는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시장에서 선두주자일수록 수익성이 양호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일반적으로 경쟁력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경쟁기업과 비교한 상대적 성장률과 성장 가능성을 봅니다.
- 안정적인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허권, 영업권 등의 독점권의 보유 유무와 그 상표에 대한 소비자들의 상표 충성도 정도입니다.
- 계속적인 성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신제품 개발 능력, 신시장개척 능력, 기술적 리더십이 그 예입니다.
- 경영다각화, 경영지배권의 안정성, 노사분규의 가능성 등 면에서 안정적 성장 여부도 검토 대상입니다.
- 원료의 독점과 안정적 공급의 정도, 정부의 특혜, 비용통제의 효율성이나 월등한 경험의 누적 등으로 인한 원가 우위의 정도 역시 볼 수 있습니다.
- 기업성과와 성장의 주역이 되는 경영진의 경영능력 또한 고려대상입니다.
기업의 미래 경영성과는 외부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의 내적인 모든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는 경영전략에 의해 좌우되는 부분이 매우 큽니다.
기업이 특정 산업 내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장기적으로 수익성 있는 성장을 계속할 수 있는 원천은 경영전략으로부터 나옵니다. 경영전략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시도될 수 있습니다.
경영전략의 적합성 즉 기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추구될 수 있는 경영전략의 유형은 다음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첫째 전반적 원가 우위 전략입니다. 생산 유통 등에서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거나 철저한 원가통제를 통하여 비용구조면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이며
둘째 차별화 전략입니다. 제품 또는 서비스면에서 경쟁업체와 차별되게 품질, 가격, 광고, 애프터서비스 등의 면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입니다.
마지막으로 특화전략이 있습니다. 당해 산업의 전시장 중에서 특정 세분시장에서의 원가 우위나 차별화 전략으로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입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